1. Adidas, 3년 만에 'ALTS' NFT 컬렉션 공개
아디다스가 지난 2021년 첫 NFT 프로젝트 이후 약 3년 만에 신규 아바타 기반 NFT 컬렉션 'ALTS by Adidas'를 공개했다. 이번 컬렉션은 총 20,066개의 고유 디지털 아바타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디다스의 블록체인 기술 및 웹3 참여 전략의 새로운 시도로 보여진다.
이번에 공개된 ALTS 컬렉션은 스포츠, 음악, 패션, 게임 등 8개의 테마로 구성된 'ALT[er] Ego'를 특징으로 한다. (베네핏에서도 소개된 적 있다.) 특히 250개 이상의 고유 특성과 80개의 디지털 웨어러블을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매직에덴 플랫폼에서 업데이트 기능을 통해 아바타의 전체 디자인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오랜 준비 기간 끝에 공개된 이번 컬렉션에 대한 NFT 커뮤니티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일부는 아바타의 높은 완성도와 기술적 디테일을 호평하고 있으나, 다른 이들은 RTFKT의 Clone X 아바타와의 유사성을 지적하며 독창성 부족을 비판하고 있다. 여기에 AI 활용에 대한 우려와 프로젝트의 장기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더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우려는 최근 나이키가 RTFKT 부문 운영 축소를 발표하면서 더욱 깊어지고 있다. 대형 기업이 주도하는 NFT 프로젝트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Web3 시장에서 기업들의 장기적 전략과 성공 가능성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아디다스는 2025년까지의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및 가상 환경과의 통합을 통해 아바타의 활용도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2021년 'Into the Metaverse' 프로젝트 이후 보다 집중된 접근 방식을 채택한 것으로,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대응하여 품질과 커뮤니티 피드백을 우선시하는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2. Pudgy Penguins, 솔라나 기반 '$PENGU' 토큰 출시 예고
NFT 시장의 인기 프로젝트 퍼지펭귄스가 2024년 자체 토큰 '$PENGU' 출시를 발표했다. 총 공급량 88,888,888,888개의 이 토큰은 솔라나 블록체인에서 발행될 예정이며, 프로젝트의 디지털 및 물리적 생태계 확장을 위한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다.
토큰 배분 계획에 따르면, 전체 물량의 25.9%가 퍼지펭귄스 커뮤니티와 NFT 보유자들에게 할당된다. 24.12%는 다른 커뮤니티와 새로운 'Huddle' 멤버들에게, 17.8%는 현재와 미래의 팀 구성원들에게 배정되며, 11.48%는 회사가 보유하게 된다. 팀과 회사 물량은 1년의 클리프 기간과 3년의 베스팅 기간이 적용된다.
메직에덴의 데이터에 따르면, 토큰 출시 발표 이후 퍼지펭귄스 NFT의 바닥가가 크게 상승했다. 메인 시리즈의 바닥가는 24 ETH(약 8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일일 상승률은 9.3%를 기록했다. 서브 시리즈인 릴 퍼지도 2.849 ETH(약 1.45만 달러)까지 상승하며 25.1%의 일일 상승률을 보였다.
이러한 가격 상승세는 NFT 시장에서 퍼지펭귄스의 입지가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실물 상품과 NFT를 결합한 퍼지펭귄스만의 전략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호평받고 있다.
$PENGU 토큰은 2024년 중 출시될 예정이나 정확한 날짜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토큰은 NFT 컬렉션, 게임, 리테일 벤처 등 퍼지펭귄스의 전체 생태계를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로 기능할 전망이다.
3. Magic Eden, $ME 토큰 에어드롭 문제로 커뮤니티 반발
NFT 거래소 매직에덴이 진행한 $ME 토큰 에어드롭이 각종 기술적 문제로 인해 커뮤니티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당초 모바일 앱으로 손쉽게 토큰을 받을 수 있다고 홍보했으나, 실제로는 많은 사용자들이 청구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사용자들이 보고한 주요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앱이 멈추거나 로딩 화면이 끝없이 반복되는 등 기본적인 기능조차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더욱이 토큰 청구를 위해서는 매직에덴의 모바일 월렛 사용이 필수였음에도, 월렛 접속이 되지 않거나 의도치 않게 데스크톱 버전으로 전환되는 문제가 잇따랐다.
이에 NFT 커뮤니티의 주요 인플루언서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Grail(@graildoteth)과 Wale(@waleswoosh) 등은 이번 문제가 단순한 기술적 오류를 넘어, 매직에덴의 모바일 월렛과 앱 전반의 기능성에 심각한 결함이 있음을 지적했다.
매직에덴은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 사태 수습에 나섰다. 현재 발생한 기술적 문제들을 인정하고 해결을 약속했으며, 아직 청구하지 못한 토큰들은 추후 스테이커들에게 확실히 분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번 사태로 Web3 서비스 출시 전 철저한 기술 검증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됐다. 특히 대규모 토큰 에어드롭과 같은 핵심 이벤트를 앞두고는 충분한 사전 테스트와 시스템 안정화가 필수적이라는 점이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