밈
<한국 밈의 예시>
혹시 한 번이라도 위와 같은 사진들을 보신 분들이 있으신가요. 한 때 국내를 뜨겁게 달구고 널리 사용되며 인터넷 문화를 풍미했던 짤(밈)들입니다. 한국에서는 위와 같은 사진들을 소위 ‘짤림방지’ 의 줄임말인 짤방, 짤 이라고 불리우던 개념이 영어권에서는 ‘밈’ 이라고 일컫습니다.
한국에서도 이전부터 외국의 ‘밈’ 이라는 개념과 상당부분 유사하게 컨텐츠의 재생산과 커뮤니티를 통한 확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과 동시에 ‘K-밈’ 으로써의 자리를 잡고 내부적으로도 문화적 지위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인터넷 커뮤니티의 천국’ 이라는 프레임을 가진 한국이 ‘밈’ 이라는 또 다른 표현방식을 가짐으로써 그에 걸맞게 점차 익숙치 않은 개념에서 벗어나 이제는 ‘밈’ 이 한 켠에 자리잡은 문화이자 커져가는 시장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레 외국 밈에 대한 노출도 높아져 아래와 같은 외국의 유명한 밈들에 이미 친숙하신 분들도 많으실거라 생각합니다.
<외국 밈의 예시>
이러한 ‘밈’ 의 출처는 통신과 기기 그리고 플랫폼의 발달 덕분에 각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의 창의적인 사람들로부터 주로 기인합니다. 영어권의 경우 그러한 공간이 크게 세 곳이 있는데 바로 4chan, reddit 그리고 이번에 소개할 9GAG 입니다.
9GAG 의 탄생
<9GAG>
9GAG는 홍콩 출신의 창립자 Ray Chan, Chris Chan 형제와 그의 친구들과 함께 총 5명이 2008년에 창업한 홍콩 소재지 소셜 미디어 회사입니다. 동시에 위에서 언급한 ‘밈’의 발상지에 해당하는 웹사이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본래는 단순히 사진이나 동영상을 자유롭게 올리는 웹사이트로 출발을 하였지만 이후 여러번의 펀딩 실패에 걸쳐 재밌고 웃긴 사진을 공유해보라는 투자자이자 멘토의 조언으로 현재의 방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매우 성공하였고 지금은 바이럴 컨텐츠를 위한 글로벌 멀티 플랫폼을 지향하는 회사가 되었습니다.
현재 일방문 400만명, 매달 2억명에 달하는 글로벌 사용자가 있으며 ‘세계를 더 행복하게 만들자’라는 사내 목표를 가지고 2022년부터는 웹3로의 진출을 하며 웹2와 웹3를 통틀어서 제일 큰 커뮤니티를 꿈꾸고 있습니다.
9GAG의 웹3로의 여정
<9GAG 대표 Ray Chan>
9GAG의 창립자인 Ray Chan 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에자일하게 흘러가는 스타트업이나 웹3씬과는 다르게 9GAG의 블록체인 씬, 웹3로의 진출은 단순히 빠르게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처음에는 그는 왜 사람들이 수백만달러를 쓰며 NFT를 구매하는지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는 NFT의 파워와 커뮤니티를 경험하기 위해 BAYC 구매를 시작으로 웹3에 입문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가 곧 느낀 것은 비록 커뮤니티가 존재하지만 그 안에서 내재적인 가치의 존재감이 그닥 크지 않다는 점이었습니다. 실제로도 웹3 특성상 지금까지 NFT 의 대부분 홀더들은 단순히 트레이더(속된 말로는 flippers)에 불과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들은 전반적인 시장에 걸쳐 유동성을 공급하고 활성화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장 참가자들임은 확실합니다) 물론 가격이라는 지표가 스캠 프로젝트를 구별하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임을 동의하지만 가격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어떤 커뮤니티의 발전이나 팀이 앞으로 나아가는 것에 방해물이 될 가능성이 매우 커집니다.
그는 과연 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서 빌딩하거나 더 크게 레버리지할 수 있는 것이 무언인지 계속해서 고민하였고 그러던 중 Kaiju Kingz 와 같은 NFT의 유틸리티성에 매우 큰 감명을 받습니다. 위 사례로 코인/토큰의 경우 누가 어떻게 쓸것이냐에 대해서 애매모호하거나 그러한 동인이 약할 수 있는 방면에 NFT가 가진 유틸리티가 그러한 점을 충분히 해소시켜 줄 수 있는 매개체로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9GAG 사내 미션>
또한 9GAG는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 빌드를 하는 회사가 되고 싶지 않겠다는 강한 신념이 있습니다. 웹3에서 항상 주목받는 로드맵을 예로 들자면 해당 로드맵의 계획이나 약속 이행에 있어 실패하는 사례와 같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부터 유래되는 문제들이 항상 도사리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위와 같이 회사가 가진 신념과 충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곤 합니다.
따라서 그보다 사내에서 제일 클리어한 미션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9GAG는 ‘세상을 더 행복하게 만들자’라는 목표를 가지게 됩니다. 회사가 정말 잘하는 것에서 제일 풀고 싶어하는 문제에 집중하고 초점을 맞추기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그들이 이렇게 생각한 이유에는 과거 첫 창업인 화장품 리뷰 웹사이트의 실패에서부터의 배움도 있었습니다.
물론 이렇게 제창한 그가 웹3에서 처음부터 성공한 것만은 아니였습니다.
<밈랜드 NFT 시리즈>
첫 민팅의 실패 그리고 흥행
2022년 6월에 진행한 9GAG의 첫 민팅인 You the Real MVP의 경우 바로 직전 5월에 루나 UST 사태로 인하여 시장의 하이프(hype)가 줄어듦으로써 절반 이상이 민팅에 실패하여 treasury로 귀속시켜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곧 실패로 인식이 되었고 이때 웹2에서의 성공이 꼭 웹3로의 성공을 이끌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9GAG의 다음 민팅에서는 빠르게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 고블린타운(goblintown)이 불러일으킨 프리 민팅 메타가 NFT 시장에 열풍처럼 불었고 그 흐름에 편승하여 2022년 7월 THE POTATOZ 라는 프리민팅을 진행하였습니다. 결과는 매우 성공적이었습니다.
또한 문버드(Moonbirds) 처럼 NFT 내에서 마이크로한 혁신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토대로 나온 아이디어가 바로 성장하는 감자(growing potatoes)였습니다. 말 그대로 9GAG의 클리어한 미션인 홀더들이 재미를 느낄만한 요소를 넣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그 뿐만 아니라 팀이 강조한 유틸리티의 경우 9GAG 가 출시하는 매 NFT 시리즈마다 서로 각기 다르게 부여되고 있습니다. NFT는 커뮤니티 기반이기에 장기적인 관점에 있어선 세상을 즐겁게 만들자의 회사의 미션뿐만 아니라 신뢰도를 기반한 단기적인 관점에서의 접근도 그만큼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커뮤니티를 유지하고 일꿔주는 것은 홀더들이기 때문입니다.
홀더들에게 단기적인 관점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9GAG가 쓰는 방법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꾸준한 소통과 팀의 활동성을 증명을 위하여 NFT에게 부여되는 유틸리티성의 재고와 그 외 부차적으로 2주마다의 타운홀 그리고 지속적인 디스코드 소통의 진행입니다. 이러한 선택과 움직임은 단기적으로 신뢰성을 부여하는 것이 팀의 장기적인 목표를 이루는데 근간이 되고 이를 실패한 많은 NFT 프로젝트와 팀들을 통한 반면교사가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2023년에 1월에 출시한 The CaptainZ 의 경우 기존의 많은 NFT처럼 레어리티를 기반으로 민팅되었습니다. 특히 본 NFT는 $MEME 에어드랍이 진행되며 바닥가의 상승도 불러 일으켰는데 이는 자칫 가격에 관심없다고 표현한 팀의 입장과는 상당히 대비되는 태도이지만서도 NFT 생태계와 시장의 이해도가 반영된 모습으로 비춰집니다.
사실 이러한 모든 민팅은 메타버스 공간으로 추정되는 밈랜드를 건설하기 위한 전초작업으로 생각됩니다. 위 NFT들을 보유함으로써 밈랜드 내에서 누릴 수 있는 많은 다양한 혜택과 유틸리티 같은 멤버쉽 권한을 부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해당 민팅들은 9GAG는 웹3에서 본인들의 하나의 거대한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는 작업이며 그 안에서 쓰일 통화가 $MEME으로 추정됩니다.
<$MEME>
더 나아가 위와 같은 NFT 공간뿐만 아니라 pfp.com (Profile Pictures), gmgm.com (Good Morning)처럼 웹3계의 크리에이터 전용 사이트나 DYOR(Do Your Own Research) 이 어려운 개인들을 위해 Holders.com 으로 알려진 NFT 나 웹3의 관련한 모든 리뷰 허브 사이트를 개설할 계획도 있으며 이들 모두 밈랜드와 $MEME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까지 ‘밈’ 을 기반으로 하나의 거대한 NFT 커뮤니티를 만들어가고 있는 9GAG 의 웹 3 진출과 그 여정의 초입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에 기반한 $MEME의 탄생과 다양한 NFT들의 구성과 설명 그리고 비교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